혈액형은 ABO형, RH형외에 MNS,P, Duffy, Kidd, Xg, Kell, Diego등 수백가지가 존재한다. 현재까지 23개의 혈액형군과 250개 이상의 혈액형 항원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많은 혈액형이 존재하는 이유는 생명체가 다양성을 획득하여 바이러스나 세균, 곰팡이 같은 외부공격에 살아남기 위해서다. 우리에게 ABO 혈액형과 RH혈액형이 잘알려진 이유는 피를 수혈할때 반드시 맞춰주지 않으면 수혈된 피가 응고되어 목숨이 위험하기 때문이다. RH형에 대해 알아보겠다. < 임상적의의> ABO 혈액형다음으로임상적으로중요한 혈액형 < 해당하는항원의 특징> - D, C, E, c, e, f, C , V등 49개 이중 가장 면역원성이강하고 임상적으로 중요한것은 D 항원 - 신생아 용혈성질환(HDN)의 가장 많은 원인항체: 항-D - D항원은 면역원성이 강하여 RhD 음성인 환자가 RhD 양성 혈액을 수혈 받을 경우 약2/3에서 항-D 항체가 형성된다. - RhD 검사는 ABO 혈액형 검사와 함께 수혈 전에 항상 실시 되는 필수 검사이다. - RhD 항원 이외의 다른Rh 항원들은 D 항원에 비하면 면역원성이 낮아 임상적인 의의가 적으므로 일상적인 수혈전 검사에서 이들에 대한검사는 시행하지않으며 단지 어떤 환자가 이미 어떤항원에 대하여 감작 되어있을 경우에만 해당항원이 없는 혈액을 선택하여 수혈한다. - RhD 항원은적혈구에만 존재한다. -당사슬(sugar chain)으로 구성된 ABO 혈액형과 달리, 단백(protein)으로 구성되어 있음 <RH+와 RH-> RH+: D항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 RH-: D항원을 가지고 있는 있지 않은 ...
1. 통계적 추론 통계적 추론 전체집단을 모두 조사하는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으로 적절한 표본집단을 지정하여 이 표본집단에서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통계량을 구한 뒤 이를 통해 모수를 추정한다. 모집단과 표본 *통계량(statistics): 추출된 표본의 평균, 표준편차, 분산 등 *모집단(population): 우리가 궁극적으로 알고 싶은 전체 집단 *모수(parameter): 모집단의 모평균, 모표준편차, 모분산 등 통계학의 많은 분석 방법들은 모수(Parameter)를 필요로 하는가 또는 필요로하지 않는가에 따라 모수통계학(Parametric Statistics) 와 비모수통계학(Nonparametric Statistics) 로 구분됩니다. 2. 모수적 방법이란? 정규성을 갖는다는 모수적 특성을 이용하는 통계적 방법 중심극한정리에 의해서 본래의 분포에 상관없이 무작위로 복원추출된 연속형 자료의 평균의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비교하고자 하는 두집단이 모두 정규분포를 띤다면 그 두 집단은 평균을 비교함으로써 차이를 밝힐 수 있다. 중심극한정리에 의해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표본의 크기는 군당 30명이상. 군당 10~30명 규모인 경우에는 정규성 검정을 통해 정규분포임이 확인되면 모수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모수적 통계의 전제조건 ① 표본의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이루어야 한다. ② 집단내의 분산은 같아야 한다. ③ 변인은 등간척도나 비율척도로 측정되어야 한다. •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비모수 통계를 사용 >>모수 검정방법의 사용 예 • 모평균과...